오늘은 지난번 재테크에 대한 기본을 알아봤기 때문에 이 기본을 바탕으로 조금씩 쌓아가는 과정이 필요해. 모든 과정이 별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서로서로 연결되어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것은 중요하고 저것은 조금 소홀히 해도 된다기보다는 모두 중요한 것이고 다만 지금은 이것이 중요하니까 이 부분에 좀 더 집중한다고 생각하면 돼. 그러면서도 다른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소홀히 하면 안 되는 거야.
자, 시작해 보자.
지난번 기본을 통해서 우리는 돈을 아껴 쓰고, 소비는 반드시 해야 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통제가 필요하다고 했어. 그런데 소비가 가능하게 하는 것은 소비가 가능한 수입(돈)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거야. 수입(돈)이 없거나 적다면 소비를 통제할 것도 없어. 조금이라도 수입(돈)이 있어야지 그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지.
수입이 일어나는 원천은 다양해. 그리고 재테크를 통해서 이 수입의 원천을 확보해서 다양하게 만들 수도 있어. 이건 나중에 다시 한번 이야기할게.
시드머니(Seed money) 또는 종잣돈
seed는 씨, 씨앗, 종자라는 뜻이니까 시드머니는 영어로, 종잣돈은 우리말로 표현한 것이겠지. 시드머니는 경제용어에서는 부실기업을 정리할 때, 빚이 자산보다 더 많은 경우에 기존 대출금을 장기저리로 해주더라도 인수자가 잘 나서지 않기 때문에 신규대출을 더해주는 조건을 붙여서 기업을 정리하게 된다. 이때의 신규대출금을 시드머니(종잣돈)이라 한다고 해.
그런데 이걸 우리가 재테크를 하면서 종잣돈은 내가 가진 돈의 일부를 떼어 일정 기간 동안 모아 묵혀 둔 것으로, 더 나은 투자나 구매를 위해 밑천이 되는 돈을 말해. 흔히들 "종잣돈을 굴리다", "종잣돈을 모아라"라는 말이 있지.
이 종잣돈은 재테크의 출발점이자 기본 자산이 되는 중요한 자금이야. 이 돈이 있어야지 투자가 가능하고, 나에게 재정적인 위기 상황이 와도 대처할 수 있는 힘이 있게 돼. 따라서 종잣돈을 모으는 것은 재테크의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어. 재테크를 하는 돈은 내가 당장 사용해야 되거나 가까운 시일내(1년내)에 사용해야 되는 것으로는 할 수가 없어. 단기간에 돈을 투자해서 투자한 돈과 그 돈에 대한 이익을 거둘 수 있는 것은 도박이나 사기외에는 없어. 그것도 이익만 있는 것은 아니고 항상 손실도 같이 있는거야. 누군가 너에게 돈을 주면 7일내, 한달내, 1년내에 2배로, 3배로 주겠다라는 말을 한다면 그건 100% 너의 돈을 가져갈테니 돈을 빨리 줘라는 말로 들으면 되. 그렇게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면 스스로 하면 되지 왜 남에게 빌려달라고 할까? 이런 것은 돈뿐만 아니라, 편한 일이 있으니 같이 하자라거나 일은 적게 하고 돈은 쉽게 벌 수 있다는 말도 마찬가지야.
그럼 종잣돈은 어디서 날까? 바로 앞서 이야기한 소비통제를 통해서 내가 벌어들인 수입에서 필요한 소비만 하고 나머지 돈을 모으는 거야. 이러한 소비통제의 방법이 가계부를 작성해서 나의 소비패턴을 보고 관리를 하거나 매달 일정 금액을 미리 저축하도록 자동이체를 해서 남은 돈만으로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모든 일이 그렇지만 무작정 돈을 모으면 쉽게 지치거나 포기하기 쉬워. 그래서 기간과 금액의 목표를 설정하고 노력하면 좋아.
한 가지 수입은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하는데, 학생 때에는 용돈과 아르바이트가 주수입원이고, 본업이 공부야. 그런데 본업에서는 수입이 발생하지는 않지만, 본업은 미래를 위한 종잣돈이므로 본업을 포기하면서 수입을 늘리는 것은 미래를 포기하는 것이니까 이 부분은 주의 깊게 생각해야 돼.
자, 오늘부터 시작하자.
매일 1,000원을 모으면 한 달 3만원, 1년이면 36만원.
하루 2,000원을 모으면 한 달 6만원, 1년이면 72만 원.
하루 3,000원을 모으면 한 달 9만원, 1년이면 108만 원.
하루 1,000원 차이가 1년으로는 2배로 달라지는 금액이 되는 것처럼, 재테크를 통해서는 단위가 일정 배수보다 더 큰 단위로 달라질 수가 있어.
사랑해♡
아빠가
한줄요약: 재테크의 첫걸음인 종잣돈 모으기를 위해 수입을 관리하고 소비를 통제하자.
'인생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잣돈(시드머니)을 모으기 위한 전략 (0) | 2024.06.18 |
---|---|
재테크 성공을 위한 기초 : 책 읽기와 소비 통제 (0) | 2024.05.31 |
귀티나는 삶이란?: 여유와 품위 (0) | 2024.05.30 |
사랑하는 딸에게 전하는 재테크의 기본 원칙 (0) | 2024.05.29 |
다산 정약용이 보낸 철학과 인생 조언 (0) | 2024.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