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서 학생생활기록부 평가요소 중 하나인 자율활동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작성할 것인지에 대해서 확인해 보겠습니다.
자율활동은 다른 교과 세특이나 동아리 부분에 비해서 자율성이 가장 높은 부분입니다.
학생 스스로 방향과 해야 되는 것을 정해서 할 수가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학생의 자기 주도적 역량을 가장 잘 드러낼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자기 주도성은 학업을 스스로 한다는 의미에서 학업 역량과도 연계가 되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학교 행사에 참여하는 것은 모든 학생들이 합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학교 행상에 참여한 후에 스스로 어떤 부분에 궁금함이나 더 탐구하고 싶다는 호기심으로 더 깊은 탐구를 진행하고 행동에 옮긴 내용을 기록하면 구체성을 띄면서 자기 주도성이 확연하게 드러나게 됩니다. 여기에 발표를 했다거나 우수보고서로 선정이 된다면 더 좋습니다.
또한 활동 자체에만 의미를 두고 구체적인 내용과 결과가 없다면 그저 나열식 활동에 불과합니다. 활동을 나열하기 위해서 다양한 활동을 하기보다는 한 가지 활동이라도 꾸준하고 탐구를 깊이 있게 하는 게 중요합니다. 그래야지 내용과 결과가 명확하게 보입니다.
그리고 자율적인 활동을 학교 내 다른 학생들과 어떻게 조화롭게 진행해 갔는지 또는 어떤 역할로 학급이나 같은 반 학생들에게 기여했는지에 대한 우수성도 마찬가지로 같이 드러내서 어필할 수가 있습니다. 즉 회장, 부회장, 급식 도우미, 멘토링등 자신의 역할을 드러내고 그 역할을 어떻게 공동체에 기여했는지에 대해 자세하게 서술해서 공동체 역량이 확연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자율활동을 작성하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주기 주도성을 강조합니다.
학교행사 참여나 활동 참여는 누구나 하는 것이고, 그다음 내가 어떠어떠한 계기로 어떤 활동을 했다는 나만의 활동을 적어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번째는 무조건 진로와 연결된 활동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자율활동은 위에서 말한 것처럼 학업역량과 공동체 역량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본인의 진로와 연관되면 좋지만, 모든 활동이 자신의 진로와 연결할 수가 없기 때문에 활동을 통한 역량을 보여주는 것이면 충분합니다.
세 번째는 내가 어떤 노력을 통해서 어떻게 성장했는지 나의 성장과정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모든 활동에서 자신만 우수할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내가 이 활동을 어떤 계기를 통해서 시작하고 어떤 과정을 거쳐 나에게 어떤 의미와 결과를 주었는지 나타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활동과 작성을 하는 데 있어서 거창하거나 거대한 것을 원하는 대학은 없습니다. 학교 내에서 학습에서 일어날 수 있는 활동을 하고 그 활동을 자신이 어떻게 참여하고 그 참여를 하면서 어떤 것을 자기 스스로 만들어서 참여했는지 그리고 이런 참여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 어떤 교류를 하면서 도움을 주고받았는지 드러난다면 우수한 평가를 받습니다.
'교육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기부 진로활동 작성요령과 예시 (0) | 2024.06.21 |
---|---|
수시원서 접수시 이것만은 고려하세요!! (0) | 2024.06.20 |
대학입시 기본내용 정리-모집시기,지원방법 및 횟수등 (0) | 2024.06.18 |
수능과 입시용어정리-수시전형,정시전형,추가모집전형 (0) | 2024.06.17 |
자주하는 질문 - 수시전형 관련1 (0) | 2024.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