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사 2급

사회복지사 2급 현장실습 일지 작성 - 2일차[치매, 욕구사정]

by 인생찾기 2024. 8. 12.

사회복지사 2급 현장실습일지 2일차

 

사회복지사 2급 현장실습일지 양식은 아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사회복지사 2급 현장실습일지 작성요령과 양식]

 

사회복지사 2급 현장실습일지 작성요령과 양식

우리나라는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 1항의 규정에 의하여 "사회복지사업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자"를 사회복지사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사는 주로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청

ermosa-05.tistory.com

 

 

사회복지사 2급 현장실습일지 2일차 일지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욕구사정 기록지 양식은 아래에 첨부하였습니다.

욕구사정 기록지 양식.hwp
0.05MB

 

1.활동목표

치매의 개념과 종류 및 증상, 욕구사정 기록지 이론과 작성

 

 

2.실습내용

1)09:00~09:30 출근부 작성 및 실습내용 점검

 

2)09:30~11:00 치매의 개념과 종류, 신체적 증상 및 정신행동증상

 -목적: 치매의 개념과 종류 및 증상에 대한 이해 및 확인

 -주요내용

  • 치매란 후천적인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억력을 비롯한 여러 인지 기능 장애가 나타나 일상생활을 혼자 하기 어려울 정도로 심한 영향을 주는 상태
  • 뇌세포 퇴화로 인하여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만성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 뇌의 혈액공급문제로 발생하는 혈관성치매
  • 치매가 관찰되는 증상으로는 기억력 저하, 언어능력 저하, 지남력 저하, 시공간 능력의 저하, 판단이나 문제해결등의 실행기능의 저하, 집중력과 계산능력의 저하등이 나타난다.
  • 치매로 인한 정신행동증상으로는 망상, 환각, 불안, 우울증상, 수면장애, 근육경련, 인지기능의 저하등이 나타난다.
  • 정신행동증상에 대한 치료는 약물적 치료와 비약물적 치료가 있다. 모든 경우에 약물치료를 시행하지는 않으며, 비약물적 치료만 또는 약물과 비약물적 치료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다.

3)11:00~12:00 돌봄의 목표와 원칙

 -목적: 치매돌봄의 목표와 원칙

 -주요내용

  • 치매환자는 인지기능 손상이 있더라도 여전히 자신의 성격과 취향이 있고, 존중받아야 하는 사람으로 느낄 수 있도록 배려하는 돌봄이 필요
  • 치매환자의 신체적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항상 사고를 대비
  • 치매에 관한 지식을 꾸준히 쌓고 다양한 자원을 적극 활용
  • 치매는 모든 구성원들이 함께 참여해야 되며 돌보는 가족 자신의 건강도 적극적으로 관리
  • 중앙치매센터 홈페이지의 뇌운동 소개와 영상 시청및 다양한 뇌관련운동 프로그램 확인

4)12:00~13:00 점심시간 및 휴식

 

5)13:00~15:00 욕구사정 기록지 작성 이론

 -목적: 욕구 사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록지 작성

 -주요내용

  • 사정은 욕구에 기초하며 전체적이고 포괄적임. 다전문직 분야의 협동 작업으로 클라이언트와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클라이언트를 이해하고 함께 강점을 확인하는 작업
  • 사정에는 인구학적 특성, 심리, 정서, 교육, 경제, 가족력등 개인과 가족, 정부지원, 사회관계망, 소속단체, 복지단체, 이웃등 외적 자원의 내용포함
  • 사정의 도구로는 심리 및 정신건강척도, 가족관련척도, 사회적 기능척도등과 사회체계와의 관계 확인을 위한 생태도, 강점 사정을 위한 워크시트(worksheet)등이 있음.

6)15:00~17:00 욕구사정 진행(클라이언트 방문)

 -목적: 클라이언트의 욕구사정 실습

 -주요내용

  • 클라이언트 방문 실습진행
  •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간단한 식사는 가능하나 걸어서 움직이는 것은 어려워서 배우자가 전담하여 배우자의 개인적인 시간이나 휴식이 어려움
  • 클라이언트가 암과 치매로 인해 처하는 어려운 환경, 배우자의 어려움등을 확인함.

7)17:30~18:00 실습일지 정리 및 종결회의

 

 

3.실습소감 및 자기평가

치매환자의 문제행동 해결시 치매환자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며 인격적으로 대하는 방식으로 시도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치매 환자의 뇌적 원인에 대한 이해와 처방을 배워서 이해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또한 클라이언트를 방문, 실습하여 많은 것을 배우는 시간이 되었습니다.